Sunday, November 12, 2023

2023년 11월 8일 제 5회 학습과학세미나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갑자기 쌀쌀해진 날씨에 감기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데요🥲🥲 추운 날씨에 다들 비타민 많이 드시고 옷도 따뜻하게 챙겨 입으시면서 꼭 건강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ㅜㅜ

지난 11월 8일에는 오랜만에 학습과학세미나가 개최되었습니다! 12동 401호 대강당에서 진행된 이번 학습과학세미나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님인 신태섭 교수님께서 진행해주셨습니다 :)

이번 학습과학세미나의 주제는 "AI 시대와 사회정서역량" 이었습니다. SEL(Social and Emotional Learning)이라고도 불리는 사회정서역량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편화된 개념은 아닌데요. 인지적 교육 뿐만 아니라 대인 관리 역량 등 다양한 사회정서적 교육도 필요하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세계경제포럼은 2015년부터 꾸준히 대인관계 역량을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으로 선정하고 있는데요.  OECD 뿐만 아니라 맥킨지에서 발표한 미래 핵심역량에도 interpersonal 역량이 포함되고 있는만큼 미래에는 다른 사람과 공존하며 살아갈 수 있는 역량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이러한 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사회정서역량인데요.  사회정서역량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내릴 수 있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이해 및 관리할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공감을 느끼며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는 역량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사회정서역량은 어떻게 학습하고 교육할 수 있을까요? CASEL(2021)에 따르면 브론펜브루너의 생태체계처럼 개인적 차원 뿐만 아니라 주변환경의 지원도 필요합니다. 안전하고, 지원적이고, 참여적인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을 기를 수 있다고 합니다. 


신태섭 교수님께서는 사회정서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시며 흥미로운 연구 결과도 하나 공유해주셨는데요. 사회정서교육을 받은 학습자의 역량을 처치 전후로 나누어 분석해보았더니 문제 행동과 정서적 문제는 감소했고, 자신과 타인, 학교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증가했으며, 사회정서역량과 교실 내 바람직한 행동도 증가했다고 합니다. 특이한 점은 학업성취도 시험 성적도 향상되었다는 것인데요. 사회정서학습(교육)이 무엇을 어떻게 배우는지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게끔 하는 대표적인 연구 결과였던 것 같습니다. 


학습과학세미나가 어느덧 5회째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번 세미나도 매우 흥미로운 주제로 진행되었던 것 같습니다ㅎㅎ 우리나라 학교 교육은 주로 인지적 영역에만 집중되어있는데, 이제는 인지적 교육 뿐만 아니라 사회정서적 역량도 함양할 수 있게끔 학교급 차원에서 학생들에게 많은 교육과 지원을 해주어야 할 시대가 온 것 같습니다.

특히 ChatGPT와 같은 초거대 언어 모델을 사용하는 생성형 AI가 많이 등장하고 있는 시대에는 AI와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고 다른 사람과 원만한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공감 역량이 뛰어난 인재가 필요한 것 같은데요. 요즈음 세태에 많은 시사점을 주는 세미나였습니다!

어느덧 11월 중순을 지나고 있는데요. 추운 날씨에 다들 감기 조심하시고 행복한 연말을 준비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Tuesday, November 7, 2023

2023년 11월 4일 가을 나들이(창경궁)

안녕하세요!
입학한지가 엊그제같은 데 벌써 가을이 다가오네요..ㅎㅎ

231104. 교수님과 재학생 선생님들이 창경궁으로 가을 나들이를 갔습니다!
혜화는 서울대와 멀어서 자주 가기 어려운 곳인데 가을 나들이 덕분에 새로운 곳을 가게 되었어요 ㅎㅎ!

4시 30분~6시까지 교수님과 함께 창경궁을 산책하였고, 교육공학도답게 AR을 통해 창경궁의 과거 모습도 체험하였습니다!



산책을 마치고 '명륜동' 식당에 가서 삼겹살과 맛있는 와규를 먹으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신혼여행에서 발렌타인31년을 찬조해주신 현웅쌤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명륜동 식당 옆 '세컨드플로우'에 가서 맛있는 맥주를 마시며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마무리하였습니다.


선생님들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는데 건강하시고 학기 잘 마무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ㅎㅎ!

Sunday, October 22, 2023

2023년 10월 11일~13일 ICER(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Research)

 안녕하세요 :) 

날이 점점 쌀쌀해지고 있습니다. 모두 감기 조심하세요!😀

10월은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의 큰 행사인 ICER가 있는 달입니다. 



ICER는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Research의 약자이며, 서울대학교에서 주최하는 국제 학술대회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교육 연구 성과 공유 및 지원, 학술 네트워크 구축을 목적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습니다. 2000년부터 시작하여 올해는 23번째 ICER였습니다! 


이번 ICER의 주제는 [Educational Restroration and Growth: Resilience, Advocacy, and Empowerment]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연구실 선생님들도 발표를 하셨는데요.

함께 살펴볼까요? 


1. 첫 번째 발표는 유영진, 금선영, 조영환 교수님의 

"Exploring the Role of Social Networks in Mathematics Education." 연구였습니다. 



이 연구는 수학 교육에서 소셜 네트워크의 역할을 탐구하는 연구였습니다. 유영진 선생님께서  소셜 네트워크가 학생들의 회복탄력성과 학업 향상에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에 대해 말씀해주셨습니다. 

연구는 인천의 한 중학교 2~3학년 19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Network Analysis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학 성취도와 지지, 또래 네트워크의 관계

수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은 지원 및 또래 네트워크 모두에서 수학 성취도가 낮은 학생보다 인기 있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향이 있었고, 수학 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지원과 또래 네트워크 모두에서 고립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 회복탄력성과 지원, 또래 네트워크의 관계 

회복탄력성이 높은 학생은 회복탄력성이 낮은 학생보다 지원과 또래 네트워크 모두에서 더 인기 있고 중요한 역할을 맡았고, 회복탄력성이 낮은 학생은 지원과 또래 네트워크 모두에서 더 고립 되었습니다. 그러나 수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 중 일부는 또래 네트워크에서 고립되어 있고, 고립된 학생 중 일부는 수학 성취도가 낮지만 회복탄력성이 높았습니다.

따라서 학습에서의 소셜 네트워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수업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하고, 강화가 필요하며,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을 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2. 두 번째 발표는 박소미, 신부경, 금선영, 추영선, 김미송교수님, 조영환 교수님의 

"The Influnce of Interaction Patterns on Performance in Onlin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연구였습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협업 문제 해결에서 상호 작용 패턴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습니다. 50명의 학부생이 참여했으며, 이들은 Zoom 및 Google 문서 도구와 같은 온라인 협업 도구를 사용하여 유전자 변형 식품 규제에 대한 논증을 공동으로 작성하였습니다. 

 


High-level 그룹과 Low-level 그룹을 나눠서 ENA분석을 했는데요. 각각의 노드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고 어떤 관계가 있는지 결과를 잘 정리해주셨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참여자는 협력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문제에 대한 개인적인 이해와 배경 지식을 공유해야 한다는 점과 교수자는 과제 내용에 대한 그룹 규제를 촉진하고 그룹 구성원 간의 공감적 상호 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발판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멋진 발표를 해주신 유영진, 박소미 선생님께 감사드리며, 

마지막으로 해당 세션에 참가하셨던 선생님들과의 기념사진을 남기며 물러가겠습니다 :) 





Friday, October 20, 2023

2023년 9월 21일 ~ 9월 23일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 견학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벌써 늦가을의 날씨가 물씬 풍기는 10월이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9월 21일 ~ 9월 23일에 있었던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 견학과, 그 견학 경험을 공유했던 연구실 세미나에 대한 소식을 가져와 보았습니다. 😀

지난 9월에 COEX에서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가 열렸습니다. 다양한 에듀테크 기술을 선보이는 자리인 만큼, 저희 연구실에서도 여러 선생님들께서 견학을 다녀오셨는데요.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기술부터 게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아날로그 퍼즐 교구까지 다양한 에듀테크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또한, 유영진 선생님, 김수연 선생님, 김혜준 선생님께서 견학과 관련된 발표를 준비해주셔서, 연구실 차원에서도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에서 배운 점에 대해 되짚어 보는 시간을 가지기도 했습니다. 교육혁신을 이끄는 다양한 에듀테크에 대해 경험을 공유해주시고, 선생님들의 고민까지 담아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다양한 에듀테크 기술을 바탕으로, 학습을 디자인해나가는 TELD가 되길 기대하겠습니다!🙂 발표해주신 유영진, 김수연, 김혜준 선생님과, 논의의 장을 만들어주신 교수님, 연구실 세미나에 활발하게 참여해주신 연구실 선생님들 모두 감사합니다!🙇

계속해서 추워지는 날씨에 모쪼록 모두 건강하고 따뜻한 가을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Tuesday, October 3, 2023

2023년 9월 19일 <학습과학연구소 개소식 및 학술포럼> 개최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청명한 가을 날씨 덕분에 더욱 행복한 요즘인데요😄 추석 연휴는 잘들 지내고 계신가요? 가족과 함께 맛있는 음식을 잔뜩 드셨길 바랍니다. ㅎㅎ 


지난 9월 19일, 사범대학 12동에서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학습과학연구소 개소식이 열렸습니다.  (학습과학연구소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ls.snu.ac.kr/main/)


개소식에는 강준호 사범대학장님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경 교육부 장관, 그리고 유홍림 총장님께서 참석해주시어 자리를 빛내주셨습니다.


우리 연구실의 교수님이신 조영환 학습과학연구소장님께서도 국내 최초이자 유일의 학습과학연구소 출범의 의의와 앞으로의 방향 등에 대해 아주 깊은 인사이트를 나누어주셨습니다. 모두를 위한 교육혁신을 목표로 하여 교육의 난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술혁신을 위해 융복합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겠다는 포부를 밝혀주셨습니다.



개소식 이후에는 학술포럼이 진행되었습니다. 장대익 가천대학교 창업대학장님과 Justin Reich MIT 교수님, University of Sydney의 김민강 교수님, 그리고 하민수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교수님께서 멋진 강연을 펼쳐주셨습니다. 

장대익 교수님께서는 진화학의 입장에서 바라본 4차 교육 혁명을 설명해주셨습니다. 4차 교육 혁명은 AI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하며, AR과 VR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학습자 맞춤형, 능동적 학습을 이끌어나가야 함을 강조하셨습니다.  

Justin Reich 교수님께서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서  학교 교육 혁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주셨습니다.  

그리고 김민강 교수님께서는 뇌과학의 입장에서 바라본 학습 분석의 가치와 활용 방안, 앞으로의 연구 방향 등에 관한 인사이트를 공유해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하민수 교수님께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서술형 자동 평가 시스템 연구를 공유해주셨습니다. 평가 시스템에 인공지능을 도입하였을 때 어떤 부분을 고려해야 할 지에 관한 시사점을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학술 포럼 이후에는 패널 토의가 있었는데요. 임철일 교수님과 권가진 교수님, 김경 한국에너지공과대학 교수님, 류장경 서울시교육청 디지털혁신미래교육과장님, 전제민 Google for Education, 그리고 이화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고등학교장께서 맞춤형 교육과 미래 교육에 관한 토의를 진행하셨습니다. 우리나라 교육이 해결해야 할 난제와 미래교육의 방향성, 소외된 학습자에 대한 맞춤형 관리 및 학습 지도 등에 관해 깊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학습과학연구소는 뇌기반 학습 연구 센터, 학습 데이터 연구 센터, AI 기반 교육 연구 센터, 미래 교육 혁신 센터를 산하에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소와 협업하는만큼 연구소의 목표인 교육 난제 해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학습과학연구소 홈페이지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ttps://ls.snu.ac.kr/main/



개소식을 위해 힘써주신 우리 연구실 선생님들을 비롯한 많은 선생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또한 개소식을 빛내주신 교수님들과 참석자분들께도 감사 인사 드립니다. 

앞으로도 학습과학연구소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Saturday, September 30, 2023

대학원 진학 안내

2024학년도 전기 석박사과정 입시와 학석사 연계과정 지원이 10월에 있습니다. 매년 많은 학부생, 졸업생, 현직교사 등이 TELD 연구실에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정보 비대칭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우리 연구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TELD 연구실에 입학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학과 교육공학(석사, 학석사연계) 혹은 교육학(박사) 전공에 지원을 해야 합니다. 교육학과 홈페이지에서 관련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https://learning.snu.ac.kr TELD 연구실에 대해서 알고 싶으면 이 블로그에 있는 글을 읽어 보거나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길 권장합니다. https://www.goedutech.com  

우리 연구실은 2023년에 서울대 학습과학연구소를 설립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지난 9월 19일에 학습과학연구소 개소식을 했는데 교육부장관과 서울대총장이 방문하여 축사를 해주시고 개소식과 학술포럼을 성황리에 마쳤습니다(조선일보 2023.9.20). 

학습과학(learning sciences)은 학습에 대한 이해와 교육의 혁신을 위해 교육학, 언어학, 심리학, 뇌과학, 컴퓨터과학 등이 융복합적인 연구를 하는 분야입니다. 최근 20-30년 동안 스탠포드 대학, 카네기멜론 대학 등 해외 명문대학을 중심으로 학습과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이자 유일한 학습과학연구소를 서울대에 설립한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며 그 중심에 TELD 연구실이 있습니다. 학습과학 연구소에 대해 궁금한 사람은 다음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세요. https://ls.snu.ac.kr

우리 연구실의 연구 분야는 (1) 학습 이론, (2) 학습 시스템 개발, (3) 수업 개선이며 각 분야의 연구에서 멀티모달 학습 데이터의 수집, 분석, 활용을 중요시합니다. 학습 이론 분야에서는 학습과정, 학습효과, 학습자 개인차 등을 연구하고 학습 시스템 개발 분야에서는 학습분석 대시보드, 챗봇, 머신러닝 모델, VR 콘텐츠 등을 개발합니다. 수업 개선 분야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수업 모델과 설계 원리를 개발하고 교사교육에 필요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세 가지 연구 분야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모두 필요합니다. 

우리 연구실은 다음 세 개의 교육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높은 학업 스트레스 상황에서 몸과 마음의 건강을 지키고 사회정서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생 웰빙 연구를 합니다. 둘째, 인공지능이 급속히 발전하는 시대에 인간과 인공지능이 서로 협력하고 공생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마지막으로,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교육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맞춤형 교육을 연구합니다.       

위 연구 분야와 교육의 난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우리 연구실에 지원하기 바랍니다. 대학원에서 학습이론, 교육공학, 데이터과학, 인공지능 등에 대한 교과목을 수강하고 교육현장의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회를 얻을 것입니다. 그리고 자신과 비슷한 주제에 대해 고민하는 15여명의 석박사과정 선생님들과 함께 논문을 읽고, 토론을 하고, 세미나에 참석을 하고,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학생이 연구 프로젝트에서 인건비를 받거나 장학금을 받으며, 해외 학술대회에 참여할 경우 BK21 사업단으로부터 소정의 지원을 받습니다.   

서울대 TELD 연구실에서는 인공지능 시대에 학습과학 분야를 선도 할 인재를 찾고 있습니다.     

Thursday, September 21, 2023

2023년 9월 14일 개강총회

안녕하세요! 

벌써 2학기 개강총회가 돌아왔습니다😆 벌써 2학기가 되다니 믿기지 않는데요..ㅎㅎ 이번 개강총회는 저희가 애정하는 시골집에서 열렸습니다.

오늘은 조영환 교수님과 teld 재학생 선생님(함윤희 선생님도 놀러오셨어요 ><)들이 참여하였고 이번 8월에 졸업한 한예진 선생님, iled 선생님들이 참석하셨습니다. iLED 선생님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생각보다 없는데 이렇게 종강총회를 하면서 함께 교류할 수 있어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ㅎㅎ



(교수님의 말씀😃)

즐거운 식사를 하면서 각 연구실의 박사 선생님의 한학기 소감을 발표했는데 다들 지난 학기를 추억하면서 이렇게 시간이 빨리 지나감을 새삼 느끼게 되었고 이번 학기도 더 열심히 하는 학기를 보내기를 다짐하였습니다. 

시골집에서 즐거운 대화를 나누며 1차를 마치고, 2차 the bears를 가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모처럼 다들 모여서 재밌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선생님들 모두 이번 학기도 늘 건강하고 화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