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October 31, 2015

인성교육의 중요성

어제 대학원생 면접이 있었습니다. 나교수님과 점심식사를 하다가 왕희지가 "비인부전(非人不傳)" "비기자부전(非器者 不傳)"이라는 말을 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아직은 이 말의 뜻을 충분히 이해하기 어렵지만 시간을 가지고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특히, 비인부전은 인성의 중요성을 의미하는 말인데 앞으로 교육공학 분야에서도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을 더 가지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홍서연 선생님과 같이 준비하고 있는 인성교육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방안 연구가 더 기대됩니다.

이문열의 금시조라는 소설에서 비인부전이라는 말이 사용되었습니다. 아래의 글은 금시조의 일부로서 스승인 석담과 제자인 고죽의 대화 내용입니다.

“선생님 서화는 예(藝)입니까, 법(法)입니까, 도(道)입니까?”
“도(道)다.”
“그럼 서예(書藝)라든가 서법(書法)이란 말은 왜 있습니까?”
“예는 도의 향이며, 법은 도의 옷이다. 도가 없으면 예도 법도 없다.”
“예가 지극하면 도에 이른다는 말이 있습니다. 예는 도의 향이 아니라 도에 이르는 문이 아니겠습니까?”
“장인(匠人)들이 하는 소리다. 무엇이든 항상 도 안에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글씨며 그림을 배우는 일도 먼저 몸과 마음을 닦는 일이겠군요?”
“그렇다. 그래서 왕우군(王右軍)은 비인부전(非人不傳)이란 말을 했다. 너도 이제 그 뜻을 알겠느냐?”
이미 육순에 접어들어 늙음의 기색이 완연한 석담 선생은 거기서 문득 밝은 얼굴이 되어 일생을 불안하게 여겨 오던 제자의 얼굴을 살폈다. 그러나 고죽은 끝내 그의 기대를 채워 주지 않았다.
“먼저 사람이 되기 위해서라면 이제 예닐곱 살 난 학동들에게 붓을 쥐여 자획을 그리게 하는 것은 어찌된 일입니까? 만약 글씨에 도가 앞선다면 죽기 전에 붓을 잡을 수 있는 이가 몇이나 되겠습니까?”
“기예를 닦으면서 도가 아우르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평생 기예에 머물러 있으면 예능이 되고, 도로 한발짝 나가게 되면 예술이 되고, 혼연히 합일되면 예도가 된다.”
“그것은 예가 먼저고 도가 뒤라는 뜻입니다. 그런데도 도를 앞세워 예기(藝氣)를 억압하는 것은 수레를 소 앞에다 묶는 격이 아니겠습니까?”
그것은 석담 문하에 든 직후부터 반생에 이르는 고죽의 항변이기도 했다. 그에 대한 석담 선생의 반응도 날카로웠다. 그를 받아들일 때부터의 불안이 결국 적중하고 만 것 같은 느낌 때문이었으리라.
“이놈, 네 부족한 서권기(書卷氣)와 문자향(文字香)을 애써 채우려 들지는 않고 도리어 요망스러운 말로 얼버무리려 하느냐? 학문은 도에 이르는 길이다. 그런데 너는 경서(經書)에도 뜻이 없었고, 사장(詞章)도 즐거워하지 않았다. 오직 붓끝과 손목만 연마하여 선인들의 오묘한 경지를 자못 여실하게 시늉하고 있으니 어찌 천예(賤藝)와 다름이 있겠는가? 그래 놓고도 이제 와서 부끄러워하기는커녕 오히려 앞사람의 드높은 정신의 경지를 평하려들다니 뻔뻔스러운 놈.”  

Tuesday, October 20, 2015

16th ICER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 10월에도 서울대 교육학과가 주관하는 국제학회인 ICER(International Conference of Education Research)가 개최되었습니다. 10월 14일부터 10월 16일까지 Future Education Design: Theory, Practice and Policy라는 주제로 학회가 진행되었는데요, 우리 연구실에서도 활발하게 참여하였습니다.

 

학회 첫 날에는 초청 학자이신 Mingfong 교수님과 따로 자리를 마련하여 궁금한 점을 질문할 수 있는 대화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해외 학자와 직접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것 같습니다.


둘째 날에는 포스터 발표와 논문 발표가 있었습니다. 교육공학회와 BK 세미나에서 발표하여 우수상을 받았던 고등 교육 온라인 학습 환경에 관한 연구 동향 연구를 기억하시나요? 우수 포스터로 선정되어 BK에서 ICER에도 포스터를 제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받았습니다. 덕분에 국제 학회에서도 저희 연구 결과를 소개할 수 있었어요. 허선영 선생님께서 번역 작업에 공을 많이 들여주셨습니다.



다음으로는 General session 20 Learning and Teaching with Technology에서 Why are some learners more interactive than others in online discussion?이라는 주제로 교수님과 제가 함께 발표를 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처음 학회에서 발표를 해 보는 것이어서 의미있는 경험이었어요:) 또, 세션에 참가했던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아서 추후 연구에 대한 피드백을 풍푸히 얻을 수 있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이 날 발표 말고도 오전에 Special Lecture의 사회와, 오후 세션이었던 General session 14 Design of Learning and Teaching in Digital Era의 사회를 보셨어요.



셋째 날 오전에는 KERIS 기관 세션이 있었습니다. 전공에 많은 선생님들이 세션에 참여하셔서 발표를 들으셨어요. 학습 분석과 관련한 연구자 분들의 발표가 기억에 남습니다.


 올 해 ICER에서 연구실의 많은 선생님들께서 활발하게 참여해 주신 덕분에 의미 있는 시간이 되지 않았나 싶어요. 내년에 개최될 ICER에서도 연구실에서 이룬 성과들을 더 많이 나눌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