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결과, 학교폭력 당사자들의 다양한 입장을 공감해봄으로써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고, 이를 해결하고 대처하는 것과 관련하여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습니다. 양적 데이터와 더불어 예비교사의 인식을 활동이론 틀에 기반하여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가상세계 역할놀이의 장점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예컨대, 학교폭력이라는 주제에 대한 흥미가 높은 학습자(주체), 역할놀이와 성찰(객체), 가상세계와 면대면 환경의 상호보완적인 사용, 사례, 점검표(도구), 예비교사들 간의 친밀감(공동체), 가상세계 활동에 대한 행동규칙(규칙), 역할을 사전에 배분하는 것과 적절한 교수자의 지원(분담)이 조화를 이루었기 때문에, 예비교사가 실제적인 맥락 속에서 학교폭력에 관한 이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논문을 읽어보세요 ^^
석사과정부터 이번 연구까지 교수님과 함께 가상세계에 관한 연구에 두 차례 참여하였는데, 개인적으로 가상세계는 현실에서 경험하기 어렵거나 실수로 인한 위험이나 부작용이 우려되는 상황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인터넷, 컴퓨터 등 환경적인 여건이 갖추어져야겠죠?ㅎㅎ
이번 연구에서 저는 인터뷰와 성찰일지에 대한 질적분석부터 참여했는데, 나름 꼼꼼하게 분석하려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교수님과 회의를 할 때 제가 놓치는 부분이 있는 것을 보면서 질적연구는 연구자의 재량에 많이 좌우된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양적연구는 수치로 유의미한지 그렇지않은지 알 수 있지만, 질적연구는 연구자가 보지 못하면 발견되지 않을테니까요. 질적연구방법을 신뢰성을 확보하는 문제나 시간소요도 더 많이 걸릴 수 있지만, 어떠한 현상을 깊이 이해하는 데에 있어 풍부한 내용을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에, 많이 배우고 연습해보아야 하는 연구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연구실 스터디에서 협력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방법을 다루고 있는데, 선생님들과 연구방법에 대해 공부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