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들.
벌써 더위가 한풀 꺾이고 개강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여름방학에 박사과정 학생들은 최신 논문을 읽는 스터디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스터디는 지난 겨울방학 때부터 시작하였습니다. 지난 겨울방학 때 저희는 교육공학 관련 교육공학 관련 주요 SSCI 저널(BJET, ijCSCL, LI, ETR&D, IS, ComEdu, JEP, JLS)의 트렌드를 리뷰하고 2016~2018년 동안 해당 저널에 게재된 논문 중 연구실의 연구 분야와 일치하는 논문을 선택하여 리뷰 리스트를 만들어 두었습니다. 그리고 겨울부터 이번 여름방학까지 학생들 ㅣ간이 맞으면 리스트의 논문을 발제하는 식으로 스터디를 진행해 왔습니다.
아무래도 학기 중에는 다들 수업도 듣고 바쁘다보니 한달에 한 번도 겨우 만날 수 있었지만 이번 여름 방학 때는 일주일에 한 번씩 만나서 한 주에 2개의 논문을 같이 읽어서 총 10개의 논문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여름 방학 때 읽은 논문은 협력학습, 학생중심학습, 교사 교육,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 기타 영역에 해당하는 논문이었고 저희가 다루었던 논문은 아래 리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협력학습
Bower, M., Lee, M. J. W., & Dalgarno, B. (2017). Collaborative learning across physical and virtual worlds: Factors supporting and constraining learners in a blended reality environmen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8(2), 407-430.
Hadwin, A. F., Bakhtiar, A., & Miller, M. (2018). Challenges in online collaboration: effects of scripting shared task percep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13(3), 301-329.
2. 학생중심학습
Blackburn, G. (2017). A university’s strategic adoption process of an PBL-aligned eLearning environment: an exploratory case stud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5(1), 147-176.
de Jong, N., Verstegen, D. M. L., & Konings, K. D. (2018). The role of the e-tutor in synchronous online problem-based learning: A study in a Master Public Health Programm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9(3), 385-397.
3. 교사 교육
Laurillard, D., Kennedy, E., Charlton, P., Wild, J., & Dimakopoulos, D. (2018). Using technology to develop teachers as designers of TEL: Evaluating the learning designer.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9(6), 1044-1058.
Nguyen, G. N. H., & Bower, M. (2018). Novice teacher technology-enhanced learning design practices: The case of the silent pedagog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9(6), 1027-1043.
4.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
Barak, M., & Asakle, S. (2018). Augmented World: Facilitating the creation of location-based questions. Computers & Education, 121, 89-99.
Cho, Y. H., & Lim, K. Y. T. (2017).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with 3D virtual world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8(1), 202-211.
5. 기타
Aslan, S., Alyuz, N., Okur, E., Mete, S. E., Oktay, E., & Esme, A. A. (2018). Effect of emotion-aware interventions on students’ behavioral and emotional stat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66), 1399-1413.
Horn, M. S. (2018). Tangible Interaction and Cultural Forms: Supporting Learning in Informal Environment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7(4), 632-665.
개인적으로는 Hadwin과 동료들(2018)의 연구와 Laurillard와 동료들(2018)의 연구가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Hadwin과 동료들(2018)의 연구는 온라인 협력에서 계획하기의 역할에 대해 깊이 있게 탐색한 연구였습니다. 특히 협력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어떤 전략으로 대처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Python으로 의사결정트리를 그려 분석하는 것이 인상깊었습니다. 이 분석 방법을 활용하면 처치 집단별로 문제를 다루는 전략이 어떻게 다른 패턴을 취하는지 시각적으로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으로 Laurillard와 동료들(2018)은 Learning Designer이라는 교수설계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Learning Designer는 웹상에서 간단하게 학습 활동을 설계해 수업을 디자인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을 살펴보는 데서 그쳤지만 향후 Learning Designer가 수업 설계를 어떻게 개선하는지 질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면 더 흥미로운 연구가 될 것입니다. 현재 진행되는 박물관 교육 프로젝트에서 게이미피케이션에 기반하여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수설계를 위한 웹 기반 프로그램의 아이디어를 참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스터디를 통해 최근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분야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다른 연구자들이 어떻게 연구를 진행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교수님이나 다른 선생님들과 논문에서 아쉬운 부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면서 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안목도 키울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럼 며칠 남지 않았지만 다들 남은 방학 즐겁게 보내시길 바라요! :)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