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October 21, 2022

[2022-2 학회] 22nd ICER(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Research) 후기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지난 10 20일부터 21일까지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는 교육연구국제학술대회 ICER가 개최되었습니다ICER는 작년에 조영환 교수님께서 공동위원장으로 주관하시기도 했던 국제학술대회였죠올해는 청중으로 ICER를 방문하게 되어 기대하는 마음을 가지고 호암교수회관으로 갔습니다올해 ICER는 주로 둘째 날에 발표들이 모여있고, 첫날에는 개회식과 기조강연이 큰 행사였습니다.

여러 가지 좋은 발표들이 많았지만교육공학과 관련된 주요 발표들을 여러분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첫날에는 Rosemary Luckin 교수님의 기조강연이 있었습니다. Luckin 교수님은 AI, 특히 교사를 대상으로 한 AI 교육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하고 계십니다. 이번 ICER에서도 'AI for School Teachers'라는 제목으로 기조강연을 하셨습니다.












Luckin 교수님은 AI가 교육에 활발히 사용될 현재, 그리고 미래에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들을 교육할 필요성을 강조하셨습니다. 이를 위하여 7단계의 프레임워크인 ETHICAI를 만드셨다고 해요. 각각의 단계들을 거치며 교사들은 AI 교육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AI를 활용해 해결할 문제를 찾고, 이에 필요한 데이터가 무엇인지 알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적용해 이로부터 통찰을 얻고, 이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

Luckin 교수님은 무엇보다도 이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때 중요한 것은 이 모든 과정이 윤리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AI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핵심이며, 이 데이터는 학생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지요.

마지막으로, Luckin 교수님은 교사들이 자신의 교실에서 마주치는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마지막으로 강조하셨고,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교육에서 AI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를 활용하는 교육자들이 AI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기조강연을 마무리하셨습니다.

세션 9 Science of Learning and Innovation in Education이 주제였습니다. 이 세션에서는 제목처럼 Science of learning에 대한 발표들이 있었는데요! TELD의 조영환 교수님과 함윤희, 박소미 선생님, 그리고 경희대학교의 김혁기 교수님이 함께 한 연구, 그리고 조영환 교수님의 지도를 받은 학부생 선생님들의 발표를 들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함윤희 선생님의 발표 제목은 'Learning analytics of note-taking behaviors to predict learning outcomes: using computer vision and text analysis'으로, 다중 양식을 사용한 연구를 소개하였습니다.

노트 필기는 우리가 학습 상황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하는 학습 방법인데요. 이전의 심리학, 교육공학 연구에서도 노트 필기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는 경우들이 있지만, 그 분석 방법이 상당히 제한적이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노트 필기를 컴퓨터 비전과 텍스트 분석을 이용해 분석함으로써 노트 필기 분석을 더 풍부히 하고, 이를 통해 학습 결과 예측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습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학습이 점차 확산되고 있고, 이를 활용한 연구가 자료 수집의 용이성으로 인해 선호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다수의 수업은 아날로그 방식을 활용해 이뤄지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 발표에서 제시한 방법은 자연스러운 학습 환경 속에서의 데이터 수집과 학습 분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히 의의가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신부경, 윤여름, 문서연 선생님과 조영환 교수님은 'Controlling video appearance i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using zoom: Why do learners turn off their cameras?'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하셨습니다.

줌으로 수업을 하는 환경에서 많은 학습자들이 카메라 켜기를 부담스러워하는 상황은 여러분들도 경험하셨을 텐데요. 사회적 실재감은 상호작용이나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선행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는데 왜 학습자들은 카메라 켜는 것을 부담스러워할까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자면 학생들이 카메라를 끄는 이유는 크게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 학습자 자율성의 연장선, 그리고 자유방임적 수업 분위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카메라를 켜는 것은 학습 촉진, 의사소통의 향상, (Zoom) 예의를 지키기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학생들은 카메라를 켬으로써 집중도 향상되지만 불안도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카메라를 껐을 때에는 집중도가 하락하고 불안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카메라 조절의 영향은 학습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스스로를 인식하는 정도, 타인을 인식하는 정도, 사회적 실재감 면에서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줌의 환경과 학생들의 특성을 더 잘 이해하여, 앞으로 향상된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환경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세션 15 Big Data and Learning Analytics for Technology-enhanced Learning에서는 Invited speaker로서 송동길 선생님께서 ‘Analyzing Educational Big Data Focusing on Undergraduate Students’ Behaviors in A Learning Management System’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셨습니다.

송동길 선생님께서는 블랙보드라는 LMS 시스템에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습 성취가 높은 학습자와 낮은 학습자의 차이를 확인했습니다.





 








학습 성취가 높은 학습자들(파란색 집단)은 상대적으로 학기 초반에는 활발하게 활동하지 않지만, 평가가 가까워질수록 다른 학습자 집단에 비해서 더 활발하게 LMS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션 21 Educational Technology for Future Education에서는 Lim Cher Ping 선생님께서 Invited speaker로서 발표해주셨습니다. Developing a Research Agenda for Technology-Enabled Learning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발표는 테크놀로지가 급격히 발달하고 있는 시대에 교육공학자들이 어떤 연구 아젠다를 가지고 연구 활동을 해야 하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육은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Quality) 뿐만 아니라 교육의 평등성(Equity)이나 비용 대비 효율성(Efficiency)도 높여줄 수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Lim 선생님께서는 이와 관련하여 3가지 연구 아젠다를 제시하셨습니다. 첫번째는 개별화되고 포용적인 학습환경과 관련되어 있고, 두번째는 교사의 전문성을 테크놀로지를 통해 개발하는 것, 세번째는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평가를 하거나 커리큘럼을 개선하는 것과 관련이 됩니다이런 세가지 연구 아젠다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테크놀로지를 통한 교육이 Quality, Equity, Efficiency를 모두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됩니다.

이번 22번째 ICER 학회에 대한 소개는 여기까지입니다. TELD의 구성원 모두들 이번 학회에 참여하면서 앞으로 연구를 위한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