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에서의 마지막날! 다시 HKU에 방문하여 더 많은 교수님들을 만나뵙고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먼저 Guang Ouyang 교수님과 미팅을 진행하며 EEG 장비 활용 연구 주제에 대해 논의해볼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Guang Ouyang 교수님께서는 Group 1 intervention group, Group 2 experimental group으로 나누어 먼저 EEG를 통해 기본적으로 어떤 흐름을 가지는지 보고, 과업 수행할 때 보고, 최종적으로 교육적 개입, 커리큘럼을 진행하고 나서 EEG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하셨다고 공유해주셨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뇌과학을 연구한다는 것은 명확한 일반화된 교육적 해결책을 줄 수는 없을 수 있으나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교육적 상황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개입의 방식을 제시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전달해주셨습니다😊
특히, 인지 신경과학 연구는 뇌 활동의 시간적 역학이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광범위하게 입증해온 연구 분야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뇌 활동의 동적 특성이 신경 인지 작동 메커니즘을 어떻게 반영하는지에 확인하는 연구도 수행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후, Gaowei Chen 교수님과의 미팅이 진행되었습니다. Gaowei Chen 교수님께서는 교실에서의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분석 연구를 주로 진행하시는 교수님이십니다. 저희 연구실의 주요 연구 주제와 겹치는 부분이 있는데요, Gaowei Chen 교수님께서는 교실에서의 대화가 교수와 학습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해주셨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실 대화 분석 역시 추후 교사가 생산적인 대화 기술을 갖추도록 하는 기본이라는 점에서 학업 성취도 향상 등의 교육 및 학습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그 중요성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교실 상황 속 대화 분석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기반의 녹음을 전사하고, 미리 정의된 틀을 바탕으로 대화 추출 및 코딩을 진행, 결과를 해석하는 절차를 포함하고 있는데, 해당 과정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정규 교사가 이러한 과정을 진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한계가 존재한다는 한계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인공지능(AI)과 사물 인터넷(IoT)을 활용하여 자동 분석 및 피드백을 위한 모델과 시스템을 개발해 오고 있으며, Gaowei Chen 교수님도 그 중 한 분이십니다. Chen 교수 연구팀은 자동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하여 생성된 강의실 대화를 넣으면 자동으로 대화를 전사하고 코딩하도록 환경을 구축하고 계십니다. 앞으로 머신러닝 알고리즘과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교실 대화를 분석하는 교실 대화를 분석하는 자동 모델과 시스템의 정확도에 대한 지속적 평가 및 수정이 필요하다고 말씀해주셨는데, 본 기술이 상용화되어 수동 코딩전사에서 벗어나는 날이 속히 오면 좋을 것 같습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