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November 10, 2025

2025년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지난 11월 8일(토) 서울대에서 2025년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가 열렸습니다. 석사 3학기가 마무리되어 가는 시점에서, 어느덧 교육공학 학술대회에 참여하는 것도 꽤 익숙해졌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 바로 <인간 중심 AI: 미래 교육을 위한 성찰과 도약>이었습니다. 국내외 다양한 연구진들이 AI 시대의 교육에 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와 깊은 통찰을 공유해 주었는데요. TELD 연구실도 당당하게 그 한 축을 담당했습니다!

 포스터 세션에서는 김혜은, 강민주, 김안나, 이규민 선생님이 로그 데이터를 활용한 학습자의 메타인지 학습전략 평가 연구, 사운서, 이규민, 조애영 선생님이 데이터 스토리텔링 기반 학습분석 대시보드 설계 및 사용자 인식 연구를 소개해 주셨습니다. 석사 1년차이신 이정찬, 조민선 선생님께서도 공유 정신모형 형성을 위한 AI 기반 협력적 교수설계 플랫폼 연구를 주제로 한 흥미로운 결과물을 공유해 주셨는데요. 오랜 기간 고민하며 연구한 결과물이 멋진 포스터로 나오는 모습을 보며 저도 같이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우수 포스터 수상까지! 대표로 수상하는 이규민 선생님😍 모두 축하드립니다!)

 발표 세션에서도 저희 연구실 선생님들이 참여한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공유되었습니다✨ 줄글로 작성하다 보니 너무 많아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는데요!

  • AI에 대한 학생 태도의 복합적 양상: 프로파일 기반 탐색 (함은혜, 김혜은, 조영환)
  •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기설명이 동영상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예원, 이현웅, 조영환)
  • 공교육 학습데이터 보안체계 구축을 위한 단계별 쟁점 (이영리, 은선민, 문희원, 김안나, 송지수, 권가진)
  • AI 기반 학습에서 적응적 공감 피드백이 인지적 참여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함윤희, 신부경, 박소미, 조영환)
  • AI가 생성한 정보에 대한 신뢰와 진위판단의 정확성 연구 (이현웅, 신부경, 조연우, 박소미, 조영환)
  • 1인 1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서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 전략 탐색 (오유나, 추영선, 조영환)
  • 대학교원의 자기수업컨설팅을 위한 AI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유영진, 추영선, 박옥희)

 다양한 학과와 대학의 선생님들과 협업하며 연구를 확장해 나가시는 모습을 보면서, 정말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도 더 정진해야겠네요! 발표하신 선생님들 다들 너무 고생하셨습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