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현장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사연구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해 주셨습니다. 교사연구는 현장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방안은 그 현장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교사 자신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는 가정아래 이루어집니다. 교사연구는 논문이나 학술지 등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탐구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미시적인 눈앞의 현장 개선을 위한 연구 뿐 아니라, 거시적인 수업환경이나 교육정책에 대한 연구까지 교사연구 범위에 포함됩니다. 노진아선생님은 이 교사연구를 탐구적으로 잘 실행하고 있는 3명의 교사의 사례를 아래 이론적 틀에 따라 보여주었습니다.
"지식(knowledge)(교사 개인적 지식의 공공지식화 가능성-교사의 지식은 개인적인 지식만은 아니다.)-실천(Practice)(이론의 실천화 실천의 이론화)-탐구공동체(Inquiry Communities) :민주·정의사회 구현(Democratic society; social justice)" 의 세 요소가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교육과정을 전공하는 박사선생님께서 이 강의를 들으시고 질문을 하셨습니다. 위 모형은 한국사회 맥락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반론이었습니다. 사실 미국의 교육에서는 민주, 정의라는 가치를 지향하고 있는데, 이 이유는 미국사회가 지향하는 가치가 민주와 정의이기 때문입니다. 교육이 지향하는 가치는 필연적으로 그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를 따라가게 되어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지향하는 가치는 미국과 다릅니다. 따라서 위 모형을 우리나라 현실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강사님도 이 의견에 동의를 하셨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통일된 지향점이 없다는 사실을 안타까워하셨습니다. 그러나 사실 저는 개인적으로 교육이 어떤 특정 가치를 지향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사회에 적합한 인간이 되도록 누군가의 정신을 변화시키는 것은 교육이 아닙니다. 교육의 목적은 오직 자아실현이어야 합니다. 교육이 어떠한 가치로의 지향점을 갖는 순간, 학생들 각자가 가진 다양한 가치를 제한해버릴 우려가 있습니다. 우리는 학생들이 어떠한 가치관을 갖고 있든지 그것을 존중하고 길러줘야 합니다. 그래서 가치교육 또한 일반 학습처럼 구성주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공학 학문이 지원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 작성자의 개인적인 생각이었습니다. 포스팅을 보고 계시는 여러분들의 의견도 댓글로 적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강의에 대한 좋은 온라인 토론의 장이 될 것 같아요.
모두들 열심히 강의를 듣고 질문을 하고 있습니다. 저희 교수님께서도 성진규선생님의 질문을 요약하며 질문을 하셨습니다. 탐구결과의 공유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특정 누군가의 탐구결과를 공유하는 분위기 보다는, 함께 연구에 참여해서 공동의 탐구결과를 내도록 독려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한 질문이었습니다. 이상정인 상태와 현실적인 상황의 관점이 서로 충돌이 되었습니다.
포스팅을 마치며, 이번 세미나는 '교사연구'라는 생소한 개념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어서 의미가 있었습니다. 특히 우리 전공과 다른 주제에 대해 고민해보면서, 보다 교육에 대한 시야를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전공과 영역은 다르지만 '실제 교육현장의 개선'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기에 이 강의가 더욱 의미있게 다가왔습니다. 보람된 시간을 만들어주신 노진아선생님께 큰 감사를 드립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