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July 13, 2024

2024년 6월 9일~14일 미국 ISLS 학회(2) - TELD 선생님들의 발표

    

 이번 ISLS 학회에 우리 연구실에서 무려 5건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


1. 박소미, 신부경, 금선영, 추영선, 김미송, 조영환(2024). The Influence of Interaction Patterns on Performance in Onlin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2. 추영선, 은선민, 조영환(2024). The Rea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 Well-Being in South Korea.

3. 장진호, 은선민, 이현웅, 최지원, 조영환(2024). The Effects of Prompt Scaffloding on Learning to Write Arguments with ChatGPT.

4. 신부경, 조수경, 김민강, 조영환(2024). Patches On The Gap: Are Neuroscience Studies Helpful for Reducing Educational Inequality? 

5. 조수경, 조영환(2024).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ntal Models of Human-AI Relationships: Tool, Servant, and Companion.


각 연구를 살펴보겠습니다😊

1. 박소미, 신부경, 금선영, 추영선, 김미송, 조영환(2024). The Influence of Interaction Patterns on Performance in Onlin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온라인 상의 협력적 문제해결 수행 수준에 따라 학습자들이 보이는 상호작용 패턴을 비교하여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한 연구였습니다. 두 명의 학습자를 한 팀으로, 25팀의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을 녹화하여 코딩하고 이에 
대한 상호작용 유형별 소요 시간과 유형 간 연결성 패턴을 분석하였는데요


분석 결과 고수행 집단은 과제 내용 조절에 시간을 더 많이 할애한 반면 저수행 집단은 정보 공유에 할애한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고수행 집단은 해결안 작성을 중심으로 정보 공유, 협상, 과제 내용 조절의 연결성이 높게 나타나는 효율적인 수행 양상과 함께 문제해결 과정에서 공감과 같은 사회 정서적 상호작용이 적절히 일어나는 양상을 보였으나, 저수행 집단은 문제 정의를 중심으로 과제 내용 조절과 과제 수행 조절이 강한 연결성을 보였는데, 이는 문제에 대한 이해와 정향의 어려움으로 인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본 연구를 통해 협력의 초기에 팀원들 간의 공유된 정신 모델을 형성하는 것이 향후 실질적으로 해결안을 작성하는 데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질 높은 문제해결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온라인 상의 협력적 문제해결이 원활히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교사들은 문제에 대한 개인적인 이해와 배경 지식을 초기에 적극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내용 관련 조절과 공감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스캐폴딩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2. 추영선, 은선민, 조영환(2024). The Rea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 Well-Being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학생 웰빙 함양을 위한 목적으로 이에 초점을 두고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기에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빈도 및 양상을 분석하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과 학생 웰빙 간의 관계를 탐구하였습니다. 

초등학교 4학년 학급을 대상으로 9차시의 수업 동영상을 녹화하여 상호작용의 대상, 빈도, 지속시간,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 웰빙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사와 학생 대상 면담을 통해 학생 웰빙과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상호작용 빈도와 지속 시간은 학생 웰빙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1회당 지속시간은 학생 웰빙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교사의 상호작용 방식은 학생 웰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도출되지 않았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비정형화된 상호작용의 객관적인 연구 가능성을 탐구하였으며, 학생 웰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교육현장에서 학생 웰빙을 중요한 연구 주제로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습니다. 


3. 장진호, 은선민, 이현웅, 최지원, 조영환(2024). The Effects of Prompt Scaffloding on Learning to Write Arguments with ChatGPT.


본 연구는 ChatGPT의 잠재적 위험성을 줄이고 학습자의 효과적인 ChatGPT 활용을 위해 ChatGPT를 활용한 논증적 글쓰기에서의 프롬프트 스캐폴딩이 글쓰기 효능감, 흥미, 지식, 글쓰기 수행을 포함하는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179명의 한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는데요. 연구 결과 프롬프트 스캐폴딩을 받은 실험군이 모든 학습결과에 있어서 더 나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해당 연구 결과는 학습자가 ChatGPT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때만 ChatGPT가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교사의 적극적인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한 연구였습니다.


4. 신부경, 조수경, 김민강, 조영환(2024). Patches On The Gap: Are Neuroscience Studies Helpful for Reducing Educational Inequality? 


본 연구에서는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신경과학이 제공할 수 있는 시사점과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을 전문가 면담과 문헌리뷰를 종합하여 정리하였습니다.

특히 교육학과 신경과학의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요소적 접근과 체제적 접근을 이으려는 여러 교육신경과학 분야의 노력을 소개하였습니다. 마지막에는 전인적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태권도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요소적 접근과 체제적 접근을 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예시를 통해 제안하였습니다. 


5. 조수경, 조영환(2024).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ntal Models of Human-AI Relationships: Tool, Servant, and Companion.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누구나 일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고, 미래인재의 인공지능 협업역량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사회적 맥락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처음 받게 되는 초등학생들이 인공지능과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 추진된 연구입니다

연구문제는 인간과 인공지능의 초등학생들의 멘탈 모델은 어떠한가입니다. 연구결과 크게 세 가지의 멘탈모델이 도출되었는데

첫 번째는 User-tool(UT) 멘탈모델 입니다. 인공지능을 행위자성(agency) 없이 무감각하게 인간의 지시를 받아들이는 도구로 보았고 상호작용이 일방향적이기 때문에 갈등 유발 가능성을 인식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는 Master-Servant(MS) 멘탈모델입니다. 이 경우 인공지능은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하인 로봇으로서 여전히 인간이 우위에 있지만 상호작용이 양방향적이고 제한적인 공감능력이 있기 때문에 업무강도나 위계에 대한 반발이 갈등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Compaion-Companio(CC) 멘탈모델이 도출되었습니다. 이러한 멘탈모델을 가진 학생들은 인공지능을 공감능력 있는 동료로 생각하였고, 상호 도움을 주고받는 수평적인 관계로 보았습니다. 다만 인공지능 윤리를 어떻게 적용하는가와 인간의 활용방식에 따라 인공지능과의 관계적 미래 시나리오는 매우 다양하게 펼쳐질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였습니다.


5개의 연구 모두 흥미롭지 않나요? 👍

많은 연구자들이 우리 연구실 선생님의 연구에 흥미를 가지고 서로 건설적인 피드백을 주고 받는 것을 보며 선생님들의 대단함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


그리고 축하할 소식이 하나 더 있습니다! 


3. 장진호, 은선민, 이현웅, 최지원, 조영환(2024). The Effects of Prompt Scaffloding on Learning to Write Arguments with ChatGPT.

이 논문이 ISLS 2024 우수 논문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아쉽게도 사진에는 장진호 선생님이 함께 하시진 못했지만 정말정말 축하드립니다. 



작성자: 김혜준, 박소미, 신부경, 은선민, 조수경, 추영선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