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교사를 위한 온라인 교육의 8번째 원리를 살펴보겠습니다.
“학생의 관점에서 온라인 교육을 설계하고 실행하세요.”
학생들을 직접 마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려니 많이 어려우시죠? 온라인 교육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직접 마주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더 사려 깊은 수업 설계가 필요합니다. 기존의 면대면 교실 수업에서는 선생님들께서 직접 학생들의 행동을 보고, 면담 등을 통해서 학습자 분석을 해오셨을텐데요.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어떻게 행동하는지, 어떤 부분을 어려워하는지 직접 확인할 수가 없지요. 더불어 면대면 수업에서는 문제가 없던 학생이 온라인 수업에서는 어려움을 겪는 등 예상 밖의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구요.
교수체제설계 이론을 발전시킨 Dick과 Carey[3]에 따르면, 효과적인 교수설계를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환경, 특성 등 학습자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먼저 학습자 분석 단계에서는 학생들의 선수지식을 확인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학습 내용과 전달 체계에 대한 태도, 학습 동기, 일반적인 학습 선호도, 집단 특성 등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환경 분석 단계에서는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 환경이 어떠한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학생이 집에서 온라인 수업에 참여할테니, 가정에서의 학습 환경이 잘 구축되었는지 살펴봐야겠네요.
최근에는 수업을 설계할 때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의 요구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바로 참여적 설계(participatory design)라고 하는 것인데요! 참여적 설계는 수업 설계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것으로, 교사와 학생이 교수설계의 과정에 공동설계자(co-designer)로 참여함으로써 수업을 개선하고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답니다! 그렇지만, 학생이 공동 설계자로 참여한다는 것이 학생이 교수설계를 주도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랍니다. 학생의 관점에서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만으로도 참여적 설계의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어요.[4]
온라인 교육에서는 이러한 체계적인 분석과 참여적 설계를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학습자 관점에서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학생의 관점에서 생각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볼까요?
첫째,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세요.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수업에 어떻게 참여하는지 관찰하고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면대면 교실 수업보다 어렵기 때문에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활용도, 어려움 등에 대한 설문 조사와 면담이 필요합니다. 설문 도구로는 zoom에 있는 설문조사 기능을 사용하시거나, 서베이몽키, 구글 설문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겠네요. 설문 시기는 온라인 수업 실시 후 2회를 권장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1학기 시행일 경우 4월, 6월에 총 2회에 걸쳐 설문을 진행한다면,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반영한 효과적인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둘째, 게시판을 통해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업을 수정하세요.
설문조사, 면담과 더불어 수시로 학습자의 학습 과정이나 만족도, 수준, 필요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수업 전-중-후 언제든지 학생의 의견을 파악할 수 있는 채널을 만들어 두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다양한 소통 채널에서 오는 혼란을 줄이고자 대화 채널은 한 가지로 정하여 운영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외부 채널과는 별개로 게시판을 운영한다면, 학습자의 의견을 모아 수업에 대한 요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게시판을 활용하여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의견을 반영하고, 수업을 수정해나간다면 학습자의 관점에서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겠지요.
셋째, 다양한 학생들의 요구를 고려하여 맞춤형 수업을 설계하세요.
학생들은 저마다 다양한 특성과 요구를 지니고 있습니다. 온라인 교육 환경은 면대면 교실 수업보다 학생들에게 개별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시하기 용이하죠.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온라인 교육은 맞춤형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기에 좋은 기회입니다. 학생들의 수준 및 흥미 등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 내용과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한다면 학생 개개인의 맞춤형 수업이 개설될 수 있을 것입니다. 동영상 강의를 통해 학생들이 나름의 속도에 맞춰 수업을 듣거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보충자료, 심화자료 등을 제시해 줄 수도 있겠습니다. 이번 온라인 교육을 통해 학습자 요구를 고려한 맞춤형 수업을 설계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아래는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온라인 교육을 운영하고 있는 사례입니다.
작성자: 금선영, 허선영, 김진희, 한예진, 김명신, 이수원, 조영환
[참고문헌]
- 이근아(2020. 4. 26). 초등생 94% “어른이 온라인 수업 도와줘요”…‘온라인 개학은 학부모 개학’. Retrieved from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426500084#csidx222b02f3944f35fb2e178d035f8eedc
- 이혜영(2020. 5. 18). 쌍방향 소통 어려워 학생도 교사도 난감. Retrieved from 동아일보: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29451
- Dick, W., Carey, L., & Carey, O.J. (2015).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8th ed.). Boston: Pearson.
- 조영환, 이현경, 조규태, 박세진. (2019).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을 위한 참여적 설계의 효과와 제한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5(4), 767-795.
- 김양순(2020, 4, 24). 나주중 교사·학생 온라인교실 매력에 ‘풍덩’. Retrieved from 전남타임스: http://www.jn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4959
- Murniati Karim. (2020.4.14). English teachers co-teach online to ensure efficient e-learning. New Straits Times. https://www.nst.com.my/education/2020/04/584270/english-teachers-co-teach-online-ensure-efficient-e-learning
- Terry Flores. (2020, 3, 31). Collaboration key for science teachers delivering online lessons. Kenosha News. Retrieved from https://www.kenoshanews.com/news/local/collaboration-key-for-science-teachers-delivering-online-lessons/article_4330c7cc-8139-5cf4-aaa0-8879204a48af.html
- 박현익(2020. 5. 6). ICT/미디어“원격교육 대세는 MS 팀즈”… 국내 사용량 작년보다 200배 늘어. Retrieved from 조선비즈: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06/2020050601545.html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