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June 1, 2020

교사를 위한 온라인 교육 원리 5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교사를 위한 온라인 교육의 다섯번째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요.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늘리세요.



  • 온라인 수업이 실시되면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부족한 사례가 적지 않게 파악되고 있습니다. 교사가 실시간 화상강의 플랫폼 줌(Zoom) 등을 통해 실시간 수업을 진행할 경우 수업 만족도가 대체로 높은 반면, EBS온라인클래스 녹화수업 등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불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한 고3 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는 "출석 체크는 실시간이지만 강의는 EBS로 본다"며 "상호작용도 없고 자고 일어나 정신없는 상태에서 수업을 들어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열악한 환경에서 사실상 독학을 하는 상황"이라고 불만을 토로했습니다.[1]



위와 같은 문제상황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온라인 수업에서 교사가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인데요.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학생이 겪게 되는 상호작용은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합니다.[2] Moore와 Kearseley(2011)은 온라인 교육에서의 상호작용을 주체에 따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습니다[3]. 학생을 중심으로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생, 학생과 내용의 차원으로 구분했는데요. 먼저 학생과 교사 간의 상호작용은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나 온라인 튜터, 외부 전문가 등과 교류하는 것을 말하며, 학생은 이러한 주체들과 의견교환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에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은 다른 학생들과 다양한 상호작용 도구를 활용하여 대화와 토론, 정보공유 등의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생과 내용 간의 상호작용은 학생에게 주어지는 학습내용 또는 학습체제와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온라인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할 수 있을까요? 첫째,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학생과 라포를 형성하고, 사전 안내 및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은 학생의 동기와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으며, 학생 스스로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교사-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온라인에서 학생과 라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들의 이름을 불러 따뜻하게 맞이해주거나, 지속적으로 안부를 묻는 대화를 통해 사회적인 친밀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또한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기 1주일 전에 어떠한 학습활동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 미리 안내를 하여 학생들이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학습목표에 적합한 과제를 준비하고 학생이 제출한 과제물에 피드백을 주어야합니다. 피드백을 줄 때는 학생의 능력이나 성실성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과제물의 장점이나 개선점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학생-학생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먼저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토론 활동 등의 인지적 상호작용을 유도하세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생은 다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업에서 자신의 존재감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으며, 다른 학생과의 비교 관찰을 통해 자신의 학습에 대한 성찰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온라인에서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생들끼리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한 다음, 인지적인 차원이나 학습과 관련된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것 입니다. 먼저, 온라인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학생들끼리 자신을 소개하고 서로를 알아갈 수 있도록 짧은 자기소개 동영상을 만드는 활동(https://info.flipgrid.com/)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끼리 친밀감이 어느 정도 형성이되면 학습과 관련된 인지적 상호작용을 촉진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학습자 간의 토론 활동을 실시하여 다른 학습자와 이야기할 수 있는 빈도를 높이고,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 등의 SNS를 연동하여 다양한 채널에서 학습자 간의 토론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합니다. 더불어 학습자들이 협력적으로 하나의 산출물을 만들게 하고, 이에 대해 다른 그룹의 학습자들이 평가하고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동료평가 및 피드백의 과정에서 ‘좋아요’이나 ‘이모티콘’을 활용하는 것도 학생 간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Best Practice 1-1]

  • 구미봉곡초는 원격수업이 학생별 학습결과 누가 기록과 개별화된 피드백이 어렵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학생별 폴더에 학습기록을 누적 저장하고, 개인별, 소그룹별로 피드백을 하고 있습니다. 소그룹(3~5명)별로 약속된 시간에 실시간 화상회의 플랫폼인 ZOOM앱을 이용한 소그룹별 화상회의에 접속해 전일 과제에 대한 개별화된 피드백을 진행하고 있으며 사정으로 인해 피드백을 받지 못한 학생들은 당일 제시된 수업영상을 본 후 과제를 수행하고, 패들렛(Padlet) 앱을 통해 학급 내 자신의 폴더에 올립니다. 소그룹 화상회의를 통해 전일 피드백을 마친 담임교사는 패들렛(Padlet)으로 당일 수행한 과제에 개인적으로 피드백을 해주고, 학생은 수정한 과제를 다시 자신의 폴더에 올리는 식으로 수업을 진행 한다고 합니다.[4]

[Best Practice 1-2]
  • 인도 뉴델리에 소재한 블루벨국제학교(Bluebells School International)의 Rashmi교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더 나은 학습 결과 촉진제로서 교수자의 적절한 피드백(Feedback)과 피드포워드(Feed-forward)를 강조합니다. 교사는 온라인 학습과정에서 학습자가 개선해야 할 사항, 학습과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등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시해야 합니다. 아울러, 학습과제를 다른 방법으로 생각하고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적절한 예시 제공, 평가 기준 공유, 과제 수행 시 예상되는 어려운 점에 대해 함께 토론하는 등 교사-학습자간의 피드포워드(Feed-forward)를 통해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과정을 스스로 반성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합니다.[5]

[Best Practice 1-3]
  • 대구 진월초 신모 교사는 원격 교육에서 라포형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학생들과 개인 상담을 진행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평소 상담시간이 5분이었다면 온라인 상으로 수업을 해야하는 상황에서는 15분정도 길게 상담 시간을 할애하여 학생들이 온라인 상황과 온라인 상황에서 교사와 만나는 상황에 익숙해지도록 해야 한다고 합니다. 여건이 된다면 정식 수업 시작 전에 학생들과 화상으로 테스트 수업을 진행하는 것도 좋고, 일상적인 이야기를 나누거나 교육용 게임을 같이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6]

[Best Practice 2]
  • 인도 Rashmi교사는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Bandura's Social Learning Theory)을 기반으로 학습자는 일상적인 환경과의 관계에서 의도적 또는 무의식 중에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과정을 통해서 학습함을 강조하였습니다. 특히, 효율적으로 관찰에서 행동에 이르기 위해서 필요한 4가지 조건: '주의집중(attention)', '파지과정(retention)', '재생산과정(reproduction)', ‘동기화과정(motivation)'을 온라인학습 환경에서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였습니다. 대안 중 하나로, 온라인에서 협력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는데요. 특히, 구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앱(Google Docs, Google Drive, Google Hangouts 등)을 비롯하여 SlideShare, Minecraft, Kahoot, Mural, Voice Thread, Edmodo 등 온라인 협업 툴과 플랫폼을 활용하여 협업과제를 수행하도록 조언하였습니다. 학생들은 협업과제 수행을 통해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고, 동료평가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학습을 성찰하는 등 몰입적인 학습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7]


위에서 제시한 가이드와 사례를 바탕으로 온라인에서 학생이 겪을 수 있는 상호작용을 고려하고 각 유형에 맞는 상호작용을 촉진한다면, 학습자에게 풍부한 온라인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아래의 영상은 미국 버지니아주 햄튼 시에 위치한 암스트롱 초등학교(Armstrong Elementary School)의 온라인 상장 수여식을 소개하는 뉴스 영상인데요. 교사는 온라인으로 상장 수여식을 개최하고 시상품을 직접 학생의 집 대문에 걸어두고 다녀갔다고 합니다. 코로나로 인해 학교를 가지 못하지만 선생님들이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학우간의 관계, 교사-학생간의 관계를 지원하고 사회적, 정서적 지원을 해주는 모습입니다:)








작성자: 한예진, 허선영, 김진희, 금선영, 김명신, 이수원, 조영환


[참고문헌]


  1. 권민수. (2020, 4, 30). 온라인 개학의 '맹점'...비대면 편승한 꼼수 난무. 미디어SR. Retreived from  https://www.medias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622
  2. Bernard, R. M., Abrami, P. C., Borokhovski, E., Wade, C. A., Tamim, R. M., Surkes, M. A., & Bethel, E. C. (2009). A meta-analysis of three types of interaction treatments in distance educa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9(3), 1243-1289.
  3. Moore, M. G., & Kearsley, G. (2012). Distance education: A systems view of online learning (3rd ed.). Belmont, CA: Wadsworth.
  4. 김영삼. (2020, 4, 28). 온라인 개학 학교 탐방 시리즈 ③-구미봉곡초. 경북교육청.  Retrieved from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8704
  5. Rashmi Chari. (2020, 5, 6). Challenges of quality in online learning. The Times of India. Retrieved from https://timesofindia.indiatimes.com/blogs/edutrends-india/challenges-of-quality-in-online-learning/
  6. 장지훈. (2020, 4, 1). 온라인 수업? "수업 전 일상 나누고 학생과 '라포' 형성하라". 뉴스1. Retrieved from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40608198269329
  7. Rashmi Chari. (2020, 5, 6). Challenges of quality in online learning. The Times of India. Retrieved from https://timesofindia.indiatimes.com/blogs/edutrends-india/challenges-of-quality-in-online-learning/

1 comment:

  1. 안녕하세요, 조규태입니다. 온라인 학습환경이 오히려 학급 구성원 사이의 상호작용을 오히려 더 늘릴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교실수업에서는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학생 한 사람에게 줄 수 있는 피드백이 제한될 경우가 많지만 온라인에서는 교사가 스스로의 시간을 투자하면 모든 학생에게 깊이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도 학교에서 매일 학생들의 과제와 활동결과에 대한 꼼꼼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온라인 상에서는 토론도 깊이있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글을 쓸 경우 이전 대화기록이 남아서 보다 상대의 주장, 근거, 근거를 뒷받침하는 설명을 깊이있게 살펴볼 수 있고, 자신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온라인에 있는 다양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온라인은 온라인 만의 소통 방법이 있고, 오프라인과는 다른 장점이 있기 때문에 온라인 수업에서 이를 활용한다면 학생들에게 훌륭한 학습경험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ReplyDelete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